닫기

- (사)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 -

한국소비장책교육학회

학술지 논문검색
HOME  •  학술지  •  학술지 논문검색

pISSN : 1738-9194 / eISSN : 2508-7991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7 no.3 (2021)
pp.27~61

DOI : 10.15790/cope.2021.17.3.027

- 중ㆍ고등학교 소비자교육 활성화 방안 고찰 -

구혜경

(충남대학교 소비자학과, 부교수)

공정거래위원회는 우리나라 소비자교육 정책을 기획하고 추진하는 주관부처이다. 제5차 소비자정책기본계획에 는 디지털 시대 학교 소비자교육 강화 방안을 중점 과제로 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ㆍ고등학교의 소비 자교육 현황과 한계점을 파악하여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학교 소비자교육은 현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교과교육 이외에 창의적 체험활동과 범교과 학습 주제를 학교 교육의 주요 축으로 삼는다. 교과과정의 경우 소비자교육이 현재 기술ㆍ가정, 가정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운영되 고 있어 이를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창의적 체험활동의 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 각각의 관점에서 소비자교육의 접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범교과 학습 주제 교육에서 소비자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교과내용의 문제, 교사역량의 문제, 학교 교육 현장에 소비자교육 주제 편입의 진입장벽 문제 등 한계점을 파악하였다.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은 장기와 단기로 구분된다. 장기적 접근은 교육과정 개정 시, 소비자교육 내용을 보완하는 것으로 소비자교육 내용 체계 및 표준안 마련 등의 기반 연구가 요구된다. 그리고 개정 교육과정에의 반영을 위하여 공정거래위원회는 교육부 및 교육과정 관련 이해관계자들과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개정 반 영을 위한 근거 연구들을 축적하고,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단기적으로 현재 학교 교육체계 에 소비자교육 접목을 강화하는 것으로 교사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교육 용도별 콘텐츠와 프로그램을 개발하 고 교안과 교사용 지도서를 교사 커뮤니티 등 교사 접근성이 높은 곳에 제공해야 한다. 더 나아가 새로운 주제의 접목을 위해 학교장, 보직교사 대상 소비자교육의 필요성 및 새로운 소비자 이슈를 포함하는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가정과 정교사 연수 강화 및 일선 교사의 일반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디지 털 시대 학교소비자 교육의 강화를 위해 교과 이외에 창의적 체험활동, 범교과 주제 학습 분야의 접목을 고찰하 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체계적인 학교 소비자교육 정책이 수립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 Study on the Promotion of Consumer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Koo, Hye-Gyoung

Fair Trade Commission is a ministry that plans and promotes Korea's consumer education policies. Strengthening school consumer education in the digital age is a central task of the 5th Framework Plan for Consumer Policy. This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consumer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and sought ways to overcome them. School consumer education is operated on the basis of the “2015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 centered education,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comprehensive curriculum learning are the central pillars of school education. Consumer education is currently operated mainly on technology and home textbook curriculum. The possibility of incorporating consumer education from each perspective of autonomous activitie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lub activities, volunteer activities, and career activities was identified. Consideration was given to how consumer education can be achieved in comprehensive curriculum learning education. Through this process, problems with the contents of textbooks, teacher competencies, and barriers to entry into consumer education topics were identified. Strategies to overcome limitations are divided into long and short periods. The long-term approach is to supplement consumer education when revising the curriculum. Therefore, an underlying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prepare the consumer education content system and standards. In order to reflect consumer education in the revised curriculum, the Fair Trade Commission should establish a network for cooperation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takeholders. In the short term, in order to apply consumer education to the current school education system, content and programs by educational use should be developed and teacher accessibility should be enhanced. Furthermore, the government should develop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consumer education for school principals and strengthen training for families and excellent teachers. In addition, consumer issues should be included in teachers' general training programs. It is hoped that a systematic school consumer education policy can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다운로드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