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 (사)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 -

한국소비장책교육학회

학술지 논문검색
HOME  •  학술지  •  학술지 논문검색

pISSN : 1738-9194 / eISSN : 2508-7991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8 no.2 (2022)
pp.83~103

DOI : 10.15790/cope.2022.18.2.083

- 금융이해력이 소비자의 노후 재무대비에 미치는 영향 -

양덕순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전공 강사)

이 연구의 목적은 금융이해력이 성인 금융소비자의 은퇴 후 노후 재무대비에 미치는 영향과 기타 관련요인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개인의 금융이해력 수준이 높아지면 개인이나 가계의 노후 재정적 복지를 증대시킬 수 있 는 지 파악하여, 먼 미래 또는 가까운 미래에 은퇴를 맞이하는 성인소비자에 대해 금융이해력을 높이고 적절한 금융소비자교육을 제공함으로써 고령 사회에서 은퇴 후 긴 기간 동안 금융소비자가 경제적으로 자립하고 여유로 운 경제생활을 영위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연구자가 작성한 설문지를 가지고 설문 조사 전문업체 한국리서 치를 통하여 자기 기입식 온라인 설문 조사를 2021년 5월 11일부터 18일까지 실시하였다. 표집방법은 조사대상 의 성별, 연령을 전국 인구 구성비에 맞추어 유의할당 표집했으며, 표집오차는 ±4.4%(95%신뢰수준 기준)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후 재무대비 영역별 평균 점수(5점 만점)를 보면 금융자산 대비가 2.41점, 주거 대비 2.52점, 증여 대비 1.90점, 상속 대비 1.85점으로, 대비 수준은 하위 네 영역 모두 중간점을 하회하는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 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후 금융자산 대비를 전혀 하지 못한 응답자의 대다수가 그 이유로 생활에서 여유가 없다고 응답했으 며, 노후의 금융자산을 자녀가 책임져줄 것이라고 한 응답자는 한 명도 없어, 노후를 자녀에게 기대는 현상은 찾 아볼 수 없었다. 셋째, 금융이해력 수준이 낮은 집단 보다 높은 집단이 노후의 금융자산, 주거, 증여, 상속 대비 수준이 높았다. 넷째, 사회인구학적 변수 즉, 거주지역, 결혼여부, 배우자 유무, 성별, 연령, 자녀유무, 첫 자녀연령 변수의 7 개 가운데 성별, 거주지역, 첫 자녀 연령은 노후의 재무대비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니었으며, 금융자산, 주거, 증여, 상속 대비 모든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배우자 유무였다. 다섯째, 금융자산, 주거, 증여, 상속 대비 모든 영역에서 교육수준, 직업(상속대비에서만 이 변수의 차이에 따 른 차이가 없었음), 월평균 가계소득, 금융자산규모, 자가보유여부, 주관적 경제 수준 인식 변수는 유의한 영향요 인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노후의 재무대비를 위한 소비자 교육적, 정책적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Effect of Consumers’ Financial Literacy on Financial Retirement Preparation in Korea

Yang, Deok So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act of financial literacy on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of adult financial consumers and other related factors. In other words, it aims to help financial consumers become economically independent and lead a relaxed economic life for a long time after retirement by providing financial literacy for adult consumers facing retirement in the distant or near future. The research methods were combined with literature research and survey. This survey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This questionnaire was submitted to the ‘Hanguk Research(www.hrc.co.kr)’, an online professional research institute, by the selffilling method from May 11 to 18, 2021. The subjects were 501 adults and over 30 years. Th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assigned to gender and age according to the national population composition. This sampling have a sampling error of ±4.4 percent (95% confidence level). Th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data was done using SPSS PC+, which is appropriate for each research problem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reliability, and one way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ny respondents (excluding those who said they had no preparation at all) were interested in preparing for retirement, 86.8% for financial assets, 80.4% for housing, 60.2% for gift, and 60.4% for succession. According to the average score by area of financial preparation for old age, 2.41(out of 5 points) points for financial assets, 2.52 points for housing, 1.90 points for gift, and 1.85 points for succession, the level of preparation being below midpoint. The level of housing preparation i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level of financial assets. And the level of the preparation for gifts and succession is less than the level of financial assets and housing preparation. Second, when asked if they thought the financial assets they were preparing for were sufficient for retiremen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said ‘insufficient’. No respondents said their children would be responsible for their old financial assets, so there was no phenomenon of relying on their children for their old age. Third, financial literacy influenced on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Groups with high financial literacy had high levels of financial assets, housing, gift, and succession preparation. Fourth,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the seven socio-demographic variables(gender, age, residence, marital status, spouse status, child presence, and first child age) on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Gender, residence and first child age were not influencing factors on the level of financial preparation in old age. Variables with or without spouses that showed comm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our subregions, namely financial assets, housing, gift, and succession. Fifth, education levels, occupation (no difference in this variable in sussession alone),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financial asset size, self-ownership and subjective economic level variables were significant factors. Socioeconomic considerations are very important in old age financial preparation. Educational and policy discussion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다운로드 리스트